국토교통부에서는 부동산 실거래가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매물을 공개하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구매한 사람의 개인정보 유출과 같은 문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구체적인 매물이 공개되지 않고, 실거래가와 일반시세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통해 정확한 분석을 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국토교통부의 시스템을 조금 더 살펴보면, 실시간으로 신고되는 거래 정보를 신고일을 기준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공식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곳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시도별 자료 제공 계약일자 범위가 최대 1년으로 변경되었다고 하니 이부분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위 링크를 통해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아파트를 비롯해, 연립/다세대, 단독/다가구, 오피스텔, 분양/입주권, 상업/업무용 등의 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다만, 신고 의무자가 직접 신고한 실제 금액을 나타내기 때문에 일반시세와는 조금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원하는 지역에 도로명 주소를 선택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번주소로도 검색이 가능하지만 원하는 결과를 얻기에는 도로명 주소를 이용하는 것이 더 편리한 것 같습니다. 도로명 주소로 바뀐지 오래되었으니 말입니다.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은 법적 효력이 없는 정보 공개입니다. 따라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외부 공개시 신고일을 기준으로 집계되는 정보를 이용해야합니다.
사실 아파트 실거래가를 다루는 사이트는 더 많습니다. 이를테면 호갱노노와 같은 아파트 실거래가 확인 앱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호갱노노와 같은 앱을 이용하는 것을 더 선호하는 편 입니다. 아무래도 커뮤니티 형성이 더 활발하게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국토교통부에서도 어플을 출시했지만 개인적으로 선호하지는 않습니다. 이 외에도 한국부동산원 부동산 가격정보 앱, 스마트 국토정보 앱, 온나라부동산포털앱 등의 앱이 출시되어있습니다. 이러한 어플 보다는 호갱노노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더 편리합니다.
'심플' 카테고리의 다른 글
Tmap 설치 다운받기 요령 (0) | 2022.11.30 |
---|---|
고용노동부 내일배움카드 신청 방법 (0) | 2022.11.30 |
스내그잇(Snagit) 1년 사용 후기 (0) | 2022.10.31 |
파워포인트 대체 프로그램 (0) | 2022.10.22 |
아치교 시공엔지니어링 (0) | 2022.10.13 |